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킬라우에아 화산 크기와 분화력, 과거 기록과 비교

by ahab1000 2025. 3. 20.
반응형

하와이의 킬라우에아 화산은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로, 지속적인 분화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 화산은 거대한 크기와 강력한 분출력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에도 여러 차례 대규모 분화를 기록했다. 킬라우에아 화산의 크기와 지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주요 분화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이 화산이 지닌 특징과 앞으로의 위험성을 예측해 본다.

화와이 화산 풍경

1. 킬라우에아 화산의 크기와 지형적 특징

킬라우에아 화산은 하와이 섬의 남동부에 위치한 순상 화산으로,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로 꼽힌다. 이 화산은 평균 해발 약 1,247m에 이르며, 해저에서부터 측정하면 약 9,000m에 달하는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킬라우에아는 하와이섬에서 다섯 개의 주요 화산(마우나로아, 마우나케아, 훌라라이, 코할라, 킬라우에아) 중 하나이며, 면적만 해도 약 1,500 km²에 달한다. 이는 제주도의 약 8배에 해당하는 규모로, 엄청난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킬라우에아 화산의 중심에는 할레마우마우분화구가 자리 잡고 있다. 이 분화구는 킬라우에아 칼데라 내에 위치하며, 직경 약 1km, 깊이 약 165m로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이곳에서는 지속적으로 화산 가스가 방출되며, 간헐적인 분출이 일어난다.

2. 킬라우에아 화산의 분화력과 용암 특성

킬라우에아 화산은 매우 강한 분출력을 가진 활화산으로, 지속적인 용암 흐름과 가스 방출을 동반한다. 이 화산에서 분출되는 용암은 점성이 낮아 넓은 지역으로 퍼지며, 대부분 두 가지 유형의 용암으로 구분된다.

  • 파호에 호에 용암 부드러운 표면과 유동성이 높은 용암으로, 강물처럼 흘러가며 얇은 층을 형성한다.
  • 아아용암 거칠고 둔탁한 용암으로, 흐르는 속도가 느리고 표면이 울퉁불퉁하다.

킬라우에아 화산의 분출력은 일반적으로 화산 폭발 지수기준 0~2 수준으로, 대규모 폭발을 동반하는 성층화산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용암의 지속적인 흐름과 유독가스 배출로 인해 장기적인 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3. 킬라우에아 화산의 주요 분화 사례와 비교

킬라우에아 화산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대규모 분화를 기록했으며, 이는 하와이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분화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1790년 대분화

킬라우에아 화산의 가장 치명적인 분화 중 하나로 기록된 1790년 분화는 강력한 폭발과 함께 화쇄류를 발생시켰다. 이로 인해 당시 하와이 원주민 수백 명이 희생되었으며, 킬라우에아가 단순한 용암류 분출뿐만 아니라 폭발적인 분출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② 1955년 대규모 분출

1955년에는 무려 88일간 지속된 용암 분출이 발생했다. 이때 수십 개의 균열이 생기며 15 km² 이상의 지역이 용암으로 덮였고, 수백 채의 건물이 피해를 입었다.

③ 2018년 분화

가장 최근의 대규모 분화 사례로, 2018년 5월 킬라우에아 화산이 폭발적으로 분출하면서 거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때 700채 이상의 가옥이 파괴되었고, 수천 명의 주민이 대피해야 했다.

  • 용암이 바다로 유입되면서 염산가스 및 미세한 유리 입자가 대기 중으로 방출됨
  • 일부 지역에서는 지진 활동이 증가하며 추가적인 위험 요소가 발생
  •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의 일부가 폐쇄됨

이러한 사례를 통해 킬라우에아 화산이 단순한 용암 분출뿐만 아니라 폭발적인 분화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결론: 킬라우에아 화산의 위력과 향후 전망

킬라우에아 화산은 상대적으로 낮은 폭발력을 가졌지만, 지속적인 용암 분출과 유독가스 배출로 인해 장기적인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과거 2018년 대규모 분화처럼 갑작스러운 폭발이 발생할 경우, 주민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하와이 지역 주민들과 정부 당국은 킬라우에아 화산의 지속적인 활동을 면밀히 관찰하며, 화산 폭발 시 대피 계획을 철저히 세워야 한다. 또한, 화산 분출이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광 산업 및 농업 분야에서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앞으로도 킬라우에아 화산의 활동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며, 화산 활동이 인류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